디플레이션(Deflation)
인플레이션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경제 전반적으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즉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입니다.
디플레이션의 원인
소비와 투자의 감소
경기가 과열되면 돈을 빌리려는 수요가 늘어나고, 금리가 오릅니다. 그래서 더 이상 대출이 늘어나지 않기 때문에 소비와 투자가 감소합니다.
공급의 증가(기술의 발전)
기술혁신이나 노동생산성 향상으로 인해 가격이 하락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예전에는 생산비가 1000원이었던 것이 기술의 발달로 인해 500으로 주어 들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기술의 발달이 전 방위적으로 나타나면, 지속적인 물가 하락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불확실성의 증가
정치적 불안, 세계정세의 대한 불안감, 정책의 잦은 변동 등의 현상이 나타나면 미래에 대한 불 확실성 때문에 개인이나 기업이나 돈을 투자하기보다는 보유하려는 경향이 강해집니다.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는 과정
인플레이션 → 금리상승 → 대출 감소(이자부담) → 통화량 감소→ 주식, 부동산 가격 감소 → 물가 하락 → 디플레이션
(3) 디플레이션의 효과
자칫 물가가 내리면 좋은거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물가가 내리면 기업의 매출이 감소하기 때문에 기업의 실적이 악화되면서 투자와 고용을 줄이기 때문에 노동자의 실직이 늘어나고, 가계소득이 줄어들면서 소비가 감소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1929년의 미국의 대 공황과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으로 불리는 장기불황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리플레이션(Reflation)
경제가 디플레이션 상태일 때 정부와 중앙은행이 경기를 회복하기 위해 재정, 금융을 확대(돈을 풀어)하면서 다시 인플레이션으로 유도합니다. 심한 인플레이션을 피하면서 금리의 인하나 재정지출의 확대 등에 의해 경기를 회복시키는 정책을 말합니다.
유동성 함정(Liquidity trap)
통화당국이 시중에 화폐의 공급량을 늘려 현금이 구하기 쉬운데도 이자율이 거의 낮아지지 않고, 기업의 생산 투자와 가계소비가 늘지 않아 경기가 회복되지 않고 마치 경제가 함정에 빠진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경기가 침체되면 먼저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인하합니다. 중앙은행이 돈을 풀어 은행으로 흘러가고, 그 돈이 개인이나 기업으로 흘러들어 가 투자와 소비가 늘어나 돈이 돈아 야 경기가 회복됩니다. 하지만, 경기가 너무 심하게 좋지 않으면 투자와 소비가 늘지 않아 중앙은행과 은행에서만 왔다 갔다 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본래 경기가 활황일 때는 물가가 상승합니다. 반면 경기가 침체기 일 때는 소비가 줄어들어 기업들이 가격을 올릴 수 없거나 내리기도 하기 때문에 물가 상승세가 한풀 꺾이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스테그플레이션은 경제성장률이 떨어지고, 경기가 침체하는데도 물가는 계속 오르는 현상입니다. 서민들은 경기가 좋지 않으니 실업과 저소득으로 고통받고 , 물가까지 치솟아 이중고에 시달리게 됩니다.
1973년에 오일쇼크로 석유 가격이 급등했습니다. 1차 오일쇼크 때 4배, 2차 오일쇼크 때도 무려 3배나 올라 원유를 수입해야 하는 대부분의 나라들에서 물가가 크게 올랐습니다. 이로 인해 생산과 소비가 급격히 줄어들고, 경기침체 상황에서도 물가가 치솟는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했습니다.
2번에 걸쳐 플레이션의 종류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도움이 되셨나 모르겠네요.
저도 이제 시작이라 쉬운 것부터 차근차근 시작해 보려고 합니다.
경제공부는 남을 따라가는 게 아닌 선택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 하는 거라고 하더라고요.
조금씩 꾸준히 하다 보면 언젠가 저희 모두 경제 전문가는 아니더라도
선택의 주도권을 쥘 수 있게 다 같이 열심히 공부합시다.
제 미천한 글을 끝까지 읽어 주셔서 고맙습니다.
모두 모두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